일본 자연과학연구기구 기초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비만의 경우 뇌 속의 특정 효소가 증가해 식욕을 억제하는 체내 호르몬의 활동을 방해하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논문을 네이처의 온라인 학술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츠’에서 발표했다.

식사를 하면 체내의 지방세포에서 ‘렙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이 호르몬은 뇌의 음식물 섭취 중추에 작용해 식욕을 억제한다. 그러나 비만인 경우 식욕이 억제되지 않는 ‘렙틴 저항성’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었다.

연구팀은 비만이 진행되면서 뇌 속에 나타나는 ‘PTPR’이라는 효소에 주목했다. 보통 쥐와 유전자 결함으로 ‘PTPR’ 효소를 만들지 못하는 쥐 각 12마리에게 생후 16주 동안 고지방 먹이를 주는 실험을 실시했다.

실험 결과 유전자 결함으로 ‘PTPR’를 만들지 못하는 쥐는 체중이 14%, 체지방은 40%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을 계속해서 섭취하면 이 효소가 증가하면서 렙틴 저항성이 생겨 비만이 되지만 효소가 없는 경우에는 저항성이 생기지 않아 섭취량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이 효소가 렙틴의 식욕 억제를 방해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연구팀은 이 효소가 혈당치를 낮추는 인슐린의 작용도 방해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의 리더인 신타니 다카후미 교수(신경생물학)는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을 개발하면 비만과 당뇨병 모두를 개선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 출처: 마이니치신문>

저작권자 © 일본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