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의료경제연구기구팀이 항인지증 약물을 쓰는 환자의 약 3분의 2가 학회의 진료 지침에서 권장하는 갑상선 기능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발표했다.

인지증의 증상은 갑상선 기능저하증에서도 나타나지만, 그런 경우에는 적절하게 치료하면 회복이 기대된다.

그러나 검사를 받지 않으면 치료가 가능한 질환을 놓쳐 불필요한 약물이 계속적으로 사용된다. 때문에 연구팀은 의사가 제대로 감별하고 약을 처방해야한다고 강조한다.

일본 내 인지증 환자는 2012년 추계로 약 462만 명이다. 알츠하이머 등 치료가 어려운 것도 있지만 해외의 데이터 등에서 10% 전후는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에 동반하는 증상으로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때문에 일본신경학회 등 다수의 학회는 2017년에 책정된 인지증 질환 진료지침에서 인지증으로 진단한 경우, 갑상선 호르몬 등을 측정하는 기능검사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기구가 정부의 의료비청구서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2015년도 1년간 인지증으로 진단되어 항인지증제를 새롭게 처방받은 65세 이상의 환자 26만 2,279명을 분석한 결과, 갑상선 기능검사를 받은 환자는 33%에 불과했다.

실시율은 의원이 25.8%로 낮았으며, 전문적인 치료를 담당하는 인지증 질환의료센터로 지정된 의료기관에서도 57.1%였다.

또한 고령이 될수록 갑상선 기능검사를 하지 않는 경향도 보였다.
항인지증약은 알츠하이머와 레비소체형인지증으로 진단된 증상의 진행을 완만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반면 갑상선 기능저하증에는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관계자는 “치료할 수 있는 인지증이 검사를 하지 않음으로써 간과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라면서 “부적절한 약의 복용으로 증상의 개선을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식욕부진과 현기증 등 환자에게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 출처: 마이니찌신문>

저작권자 © 일본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